본문 바로가기

나라장터 계약 기초 정보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인증서 소개(2025 개편된 시스템 인증서 안내)

반응형

2025년 1월 6일, 나라장터는 기존의 종전 시스템에서 차세대 시스템으로 전환하며 다양한 로그인 경로와 인증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요기관과 조달기업의 로그인 방법 및 인증서 현황을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인증서 소개 : 시범개통 안내문

 

 

1.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방법 및 인증서 비교(수요기관)

 

1. 종전 나라장터

로그인 방법: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ID/Password
인증서 종류: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코스콤)

 

2.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방법:

ID/Password, 개인용 금융·공동인증서, GPKI, EPKI, 개인용 간편인증*,

스마트 나라장터 앱, 모바일 공무원증 및 모바일 신분증

 

전자서명 방법: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사업자용 금융인증서, GPKI, EPK

* 개인용 간편 인증서 종류:
신한인증서, 국민인증서, 우리인증서, 드림인증
삼성패스, 통신사 PASS, 네이버, 카카오뱅크
페이코, NH인증서, 카카오톡, 토스, 하나인증서, 뱅크샐러드

 

2.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방법 및 인증서 비교(조달기관)

 


1. 종전 나라장터

로그인 방법: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ID/Password

신원확인 방법 : 지문보안토큰

전자서명 방법: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코스콤)

 

2.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방법:

ID/Password, 개인용 금융·공동인증서, GPKI, EPKI,

개인용 간편인증, 스마트 나라장터 앱, 모바일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 개인용 금융인증서, 개인용 간편인증, 스마트나라장터앱, 모바일신분증

 

전자서명 방법: 사업자용 공동인증서, 사업자용 금융인증서3), 개인사업자용 간편인증4)



유의사항
개인용 공동인증서는 신원확인 시 사용 제한
사업자용 금융인증서 및 개인사업자용 간편인증은 전자세금계산서 업무에 사용 불가


3. 차세대 나라장터의 기대 효과

사용자 편의성 향상

다양한 로그인 옵션과 간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 경험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보안성 강화

지문 보안 토큰과 스마트폰 기반 신원 확인 도입으로 안전한 인증 환경을 제공합니다.

디지털 접근성 확대

모바일 공무원증과 신분증 등 새로운 인증 방식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접근성을 강화했습니다.

 

결론

차세대 나라장터는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환경을 구현하며,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잡았습니다. 아직 개편 초기라 익숙하지 않은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때문에 혼란스러워 하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금방 이용하다 보면 사용자 편의성에 맞게끔 제작된 시스템이기에 쉽게 계약업무를 수행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종전 나라장터와 차세대 나라장터의 차이를 이해하고 새로운 인증 방식을 활용해 더 편리하고 안전한 조달 업무를 수행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정보 및 활용 팁

차세대 나라장터의 새로운 인증 방식 사용법은 공식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인증서 발급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면 고객센터(1588-0800)에 문의하거나 이용 안내 페이지를 확인해 보세요.

차세대 나라장터 로그인 문의 : 고객센터
차세대 나라장터 고객센터

반응형